✅ 객체란?
자바스크립트의 객체는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 프로퍼티(Property)들의 집합이다.
프로퍼티 값으로 모든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이므로 값으로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퍼티 값으로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소드라 부른다.
✅ 프로퍼티(Property)란?
프로퍼티는 프로퍼티 키(이름)와 프로퍼티 값으로 구성된다.
프로퍼티는 프로퍼티 키로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다. 즉, 프로퍼티 키는 프로퍼티를 식벽하기 위한 식별자다.
- Property Key : 빈 문자열을 포함한 모든 문자열 또는 Symbol 값
- Property Value : 모든 값
- { Key : Value };
✅ 프로퍼티 키에 문자열이나 Symbol값 이외의 값을 지정하면 타입이 변환되어 문자열이 된다.
✅ 이미 존재하는 프로퍼티 키를 중복 선언하면 나중에 선언한 프로퍼티가 먼저 선언한 프로퍼티를 덮어쓴다.
✅ 배열과는 달리 객체는 프로퍼티를 열거할 때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 메소드(method)란?
프로퍼티(Property)값이 함수일 경우,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소드라 부른다.
즉, 메소드는 객체에 제한되어 있는 함수를 의미한다.
✅ 객체 생성 방법 [3가지]
ES6에서 새롭게 클래스가 도입되었다. 프로토타입 기반 프로그래밍은 클래스가 존재하지 않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스타일이다.
클래스 없이 프로토타입 체인과 클로저 등으로 객체 지향 언어의 상속, 캡슐화(정보 은닉)등의 개념을 구현한다.
ES6의 클래스가 새로운 객체지향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클래스도 사실 함수이고 기존 프로토타입 기반 패턴의
문법적 설탕(Syntactic sugar)이다.
1. 객체 리터럴
가장 일반적인 객체 생성 방식이다.
중괄호{} 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데 {}내에 1개 이상의 프로퍼티를 기술하면 해당 프로퍼티가 추가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 중괄호{} 내부에 아무것도 작성하지 않으면 빈 객체가 생성된다.
let obj = {};
console.log(typeof obj); // object
let student = {
name : 'sujin',
gender : 'female',
sayHello : function() {
console.log('Hi! Welcom to school ' + this.name) // ✅ this.name = student.name
}
};
console.log(typeof student); // object
console.log(student); // { name: 'sujin', gender: 'female', sayHello: [Function: sayHello] }
student.sayHello(); // Hi! Welcom to school sujin
✅ This는 뭐지?
메서드 안에서 사용한 this는 해당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로 바인딩된다.
2. Object 생성자 함수
new 연산자와 Object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여 빈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빈 객체 생성후 프로퍼티 또는 메소드를 추가하여 객체를 완성하는 방법이다.
✅ 생성자(constructor)함수란 ?
키워드와 함께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함수를 말한다. 생성자 함수를 통해 생성된 객체를 인스턴스(Instance)라 한다.
자바스크립트는 Object 생성자 함수 이외에도 String, Number, Boolean, Array, Date, RegExp 등의 빌트인 생성자 함수를 제공한다.
일반 함수와 생성자 함수를 구분하기 위해 생성자 함수의 이름은 파스칼 케이스(Pascal Cas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파스칼 케이스(PascalCase) : oh my god ➡️ OhMyGod
객체가 소유하고 있지 않은 프로퍼티 키에 값을 할당하면 해당 객체에 프로퍼티를 추가하고 값을 할당한다.
이미 존재하는 프로퍼티 키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면 프로퍼티 값은 할당한 값으로 변경된다.
let student = new Object();
student.name = 'Min';
student.gender = 'male';
student.sayHello = function(){
console.log('Hi! Welcome to School ' + this.name);
}
console.log(student) // { name: 'Min', gender: 'male', sayHello: [Function (anonymous)] }
student.sayHello(); // Hi! Welcome to School Min
✳️ 개발자가 일부러 Object 생성자 함수를 사용해 객체를 생성해야 할 일은 거의 없다.
3. 생성자 함수
생성자 함수를 사용하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함 템플릿(클래스)처럼 사용하여 프로퍼티가 동일한 객체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다.
// 생성자 함수
function Student(name, gender){
let number = 10; // private
this.name = name; // public
this.gender = gender; // public
this.sayHello = function(){ // public
console.log('Hi! Welcome to school ' + this.name);
}
};
// 인스턴스 생성
let student1 = new student('Kim MinSu', 'male');
let student2 = new student('Choi Hoya', 'male');
console.log(student1);
// student {name: 'Kim MinSu', gender: 'male', sayHello: [Function (anonymous)]}
console.log(student2);
// student {name: 'Choi Hoya', gender: 'male', sayHello: [Function (anonymous)]}
student1.sayHello(); // Hi! Welcome to school Kim MinSu
student2.sayHello(); // Hi! Welcome to school Choi Hoya
✳️ 생성자 함수 이름은 일반적으로 대문자로 시작한다. 이것은 생성자 함수임을 인식하도록 도움을 준다
✳️ 프로퍼티 또는 메소드명 앞에 기술한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 this에 연결(바인딩)되어 있는 프로퍼티와 메소드는 외부에서 참조가 가능하다.
✳️ 생성자 함수 내에서 선언된 일반 변수는 외부에서 참조가 불가능하다.
* 즉,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는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하나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다.
✅ 객체 프로퍼티 접근
1. 프로퍼티 키
프로퍼티 키는 문자열을 지정한다. 프로퍼티 키에 문자열이나 symbol값 이외의 값을 지정하면 타입이 변환되어 문자열이 된다.
또한 문자열 타입의 값으로 수렴될 수 있는 표현식도 가능하다. 프로퍼티 키는 문자열이므로 따옴표를 사용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 가능한 유효한 이름인 경우 따옴표를 생략할수 있고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따옴표를 사용하여야 한다.
프로퍼티 값은 모든 값과 표현식이 올 수 있고 프로퍼티 값이 함수인 경우 이를 메소드라고 한다.
let student = {
'first-name' : 'Chul Su',
'last-name' : 'Kim',
gender: 'male',
1 : 10
//function : 1 // 예약어는 사용하면 안된다.
};
console.log(student)
// 결과값
{
'1': 10,
'first-name': 'Chul Su',
'last-name': 'Kim',
gender: 'male'
}
✳️ 프로퍼티 키 first-name에는 반드시 따옴표를 사용해야 하지만 first_name에는 생략 가능하다.
first-name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 가능한 유효한 이름이 아니라 뺴기(-) 연산자가 있는 표현식이기 때문이다.
2. 프로퍼티 값 읽기
객체의 프로퍼티 값에 접근하는 방법은 마침표(,) 표기법과 대괄호 ([])표기법 이 있다.
let student = {
'first-name': 'Chul Su',
'last-name': 'Lee',
gender: 'male',
1: 10
};
console.log(student);
console.log(student.first-name); // NaN: undefined-undefined
console.log(student[first-name]); // ReferenceError: first is not defined
console.log(student['first-name']); // 'Chul Su'
console.log(student.gender); // 'male'
console.log(student[gender]); // ReferenceError: gender is not defined
console.log(student['gender']); // 'male'
console.log(student['1']); // 10
console.log(student[1]); // 10 : person[1] -> person['1']
console.log(student.1); // SyntaxError
console.log(student.age); // undefined
✳️ 프로퍼티 키가 유효한 자바스크립트 이름이고 예약어가 아닌 경우 프로퍼티 값은 마침표 표기법, 대괄호 표기법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프로퍼티 이름이 유효한 자바스크립트 이름이 아니거나 예약어인 경우 프로퍼티 값은 대괄호 표기법으로 읽어야한다.
대괄호([]) 표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대괄호 내에 들어가는 프로퍼티 이름은 반드시 문자열이어야 한다.
✳️ 객체에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를 참조하면 undefined를 반환한다.
3. 프로퍼티 값 갱신
객체가 소유하고 있는 프로퍼티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면 프로퍼티 값은 갱신된다.
let student = {
'first-name': 'Chul Su',
'last-name': 'Lee',
gender: 'male',
};
student['first-name'] = 'Choi';
console.log(student['first-name']); // 'Choi'
4. 프로퍼티 동적 생성
객체가 소유하고 있지 않은 프로퍼티 키에 값을 할당하면 주어진 키와 값으로 프로퍼티를 생성하여 객체에 추가한다.
let student = {
'first-name': 'Chul Su',
'last-name': 'Lee',
gender: 'male',
};
student.age = 28;
console.log(student.age); // 28
console.log(student);
// 결과값
{
'first-name': 'Chul Su',
'last-name': 'Lee',
gender: 'male',
age: 28
}
5. 프로퍼티 삭제
[delete] 연산자를 사용하면 객체의 프로퍼티를 삭제할 수 있다. 이때 피연산자는 프로퍼티 키 어야만 한다.
let student = {
'first-name': 'Chul Su',
'last-name': 'Lee',
gender: 'male',
};
delete student.gender;
console.log(student.gender); // undefined
delete student;
console.log(student); // { 'first-name': 'Chul Su', 'last-name': 'Lee' }
// ✅ 피연산자는 Key일때 삭제가된다.
'개발공부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 함수(Function) 호이스팅(Hoisting)이란? (0) | 2022.07.20 |
---|---|
Javascript : 함수(function)란?, 함수선언문종류 (0) | 2022.07.20 |
Javascript : 배열(Array) 생성 및 사용법(생성, 추가, 삭제) (0) | 2022.07.18 |
Javascript : 반복문(for문) 정리 (0) | 2022.07.13 |
Javascript : 배열(Array) 에 대한 설명 (0) | 2022.07.13 |
댓글